2025/05 14

개념 정리 | Spring MVC, 어노테이션, IoC의 시작, Apache tomcat

Spring MVCView : 화면Controller : View - Model 중간 매개체Model : 데이터 연산(DB 소통), 로직 Repository, Service (상세 역할) 어노테이션어노테이션의 역할 "아래 세 친구에게 알려주기"1. 컴파일러에게 ex. @Override2. 빌드도구에게 ex. @Getter3. 프레임워크에게 ex. @스프링아 아래 클래스를 스프링빈으로 니가 관리해줘 IoC의 시작객체를 부탁해 생성부터 관리까지 2가지 방법= 이 클래스를 이제 스프링 빈으로 좀 관리해줬으면 좋겠어= 이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컨테이너에) 등록해줘= 이 클래스를 객체로 생성해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줘 1. @Component class _______ {2. @..

카테고리 없음 2025.05.09

스프링의 주요원리 (IoC, 컨테이너, 스프링빈, DI)

스프링의 주요 원리1. IoC2. 컨테이너3. 스프링빈4. DI 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inverse : 정반대로 뒤집힌다. control : 제어 "프로그램의 흐름 = 객체의 흐름" = 객체의 제어권을 정반대로 뒤집는다. (스프링이 객체에 대한 제어권(생성, 사용, 라이프사이클)을 가진다 - 기존에는 개발자가 제어권을 가지고 있었다.) 스프링이 객체를 생성해서 관리를 하기위해 (스프링/IoC/DI)컨테이너를 준비스프링이 관리하는 객체 = 스프링 빈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의존한다 = 사용한다 / 의존성 = 사용할(하는) 것 = 객체개발자 : 주입받는다스프링 : 주입해준다 객체를 사용한다. = 객체를 생성해서 메소드/필드를 호출..

카테고리 없음 2025.05.09

🌐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점에서 바라본 인프라 & DevOps 핵심 요약2

✅ Cloud Native란?Cloud Native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개발, 배포, 운영하는 접근 방식이다.최신 기업은 고객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확장성, 탄력성, 장애 격리성을 갖춘 앱을 추구하며, Cloud Native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다.Cloud Native의 핵심 요소Microservices 기반: 단일 블록(monolith)이 아닌 기능별로 나뉜 소규모 서비스들의 조합컨테이너 기반: Docker, Kubernetes를 활용해 경량화된 가상 환경 구성DevOps 문화: 개발과 운영의 협업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 CI/CD 시스템으로 신속한 배포 실현✅ Cloud Native의 장점1. 효율성 증가DevOps,..

🌐 클라우드 네이티브 관점에서 바라본 인프라 & DevOps 핵심 요약

✅ API란 무엇인가?**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애플리케이션 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다.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또는 서로 다른 서비스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된다.예: 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로 주문 내역을 요청할 때 API를 통해 통신한다. ✅ API란 무엇인가?**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애플리케이션 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다.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또는 서로 다른 서비스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된다.예: 프론트엔드에서 백엔드로 주문 내역을 요청할 때 API를 통해 통신한다. ✅ 실습 시 강점이 되는 포인트💡 Apache Kafka데이터 스트리밍 처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