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데브캠프 : 남궁성의 백엔드 개발 3기

AWS 서버 구축하기

Tech_JINI 2025. 2. 24. 12:45

로그인 후 바로 뜨는 콘솔 홈에서 EC2 누르기

 

지역을 ‘서울’로 선택하고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

 

[인스턴스 시작 패이지]

윈도우즈 서버가 이용하기 편해서 선택

프리티어 사용 가능하다는 문구가 뜬 것으로 선택하기

 

프리티어 사용 가능이라고 써져있는 t2.micro가 디폴트로 선택되어 있을 것이다.

옆에 ‘검토 및 시작’버튼이 있다면 누른 다음 나오는 페이지에서 ‘시작하기’버튼을 누른다.

나는 ‘검토 및 시작’버튼이 따로 보이지 않아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키 페어 부분에서는 ‘새 키 페어 생성’ 버튼을 누른다.

 

키 페어 이름만 지정해준 뒤 키 페어를 생성한다.

‘키 페어 생성’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키 파일이 다운 받아진다.

(자동으로 다운받아지지 않고 ‘키 페어 다운로드’ 버튼이 보인다면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기)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누른다.

 

인스턴스가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으면 ‘모든 인스턴스 보기’ 버튼을 누른다.

 

 

초기화 상태로 실행 중인 인스턴스를 볼 수 있다.

 

선택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인스턴스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상태 및 경보’의 부분은 인스턴스 생성 직후에는 위 사진처럼 제대로 된 정보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인스턴스 새로고침을 통해 업데이트된 정보를 빠르게 볼 수 있다.

 

해당 인스턴스를 선택한 상태에서 연결버튼을 누른다.

 

다음 페이지에서 RDP클라이언트 부분을 누른다.

해당 페이지의 ‘원격 데스크톱 파일 다운로드’버튼을 누른다.

원격 데스크톱 파일은 원격 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정보가 담긴 파일로 바로가기와 유사하다. 원격 서버에 연결할 때는 이 파일을 더블클릭한다.

 

다운받은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다.

 

 

암호 정보는 아래의 인스턴스 연결 페이지에서 알 수 있다.

 

맨 아래 사용자이름이 Microsoft remote desktop의 유저네임 정보에 해당하고,

패스워드는 암호 가져오기를 통해 입력하면 된다.

 

‘암호 가져오기’ 버튼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로 넘어간다.

 

 

생성하고 다운받았던 키 페어를 ‘프라이빗키 파일 업로드’를 통해 올린다.

 

파일을 업로드한 후 ‘암호 해독’ 버튼을 누른다.

 

 

이 과정을 거치게 되면 이제 암호가 보인다.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윈도우 창이 뜬다.

 

Aws에서 만든 인스턴스 도메인 주소가 위에 떠있다.

방금 뜬 윈도우창은 Aws의 가상 컴퓨터이다.

 

인터넷 브라우저를 열어 jdk11과 톰캣을 다운받는다.

나는 https://github.com/castello/spring_basic 에서 다운받았다.

 

클로즈를 누른다.

 

오케이를 누른다.

보안 설정으로 다운이 받아지지 않을 수 있다.

 

설정에서 internet options > Security >custom level 에 들어간다.

 

file download 를 활성화시켜주면 다운이 받아질 것이다.

 

Download > file download 에서 disable로 되어있을 것이다.

Enable로 선택한뒤 ok를 눌러 창을 닫는다.

 

나는 이 방법으로도 다운이 받아지지 않아, 다운받을 수 있는 링크를 복사 붙여넣기하여 다운받았다. 

 

 

다운받은 jdk의 압출을 풀고c드라이브로 이동시켜준다.

 

Bin 경로를 복사하여

 

 

제어판으로 들어가

 

 

Environment Variables 클릭

 

Path에서 편집버튼 누르기

 

 

New 눌러 복사했던 bin경로 입력하고 Move Up으로 맨 위까지 경로 올려주기

Ok버튼 누르기

 

New 눌러 JAVA_HOME 경로 만들기

경로는 이때 bin을 빼고 써준다.

 

윈도우를 눌러 window powershell을 열고

 

Javac- version을 입력했을 때, 다음과 같이 버전이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경로설정이 완료된 것이다.

 

 

다운받았던 톰캣을 로컬 드라이브에 옮긴다.

 

톰캣파일>bin>startup을 실행시키면

 

이 창이 뜨고 아래에 Server startup in __ seconds라고 나온다.

이는 몇초안에 서버가 실행되었는지 알려주는 것이다.

 

http://localhost:8080/ 를 브라우저에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톰캣 서버가 실행/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부터 기존 컴퓨터로 원격 서버에 있는 톰캣에 접속해보려고 한다.

그 전에 원격 서버의 방화벽을 열어주어야 한다.

 

윈도우를 열어 firewall을 입력해서 나오는 것을 클릭

 

Advanced settings 클릭

 

Inbound rules : 방화벽 안으로 들어오는 규칙 (규칙에 맞는 것만 들어올 수 있음)

Outbound rules : 방화벽 밖으로 나가는 규칙

 

Inbound rules > new rules

 

Port 선택 > Next >

 

8080 입력 > Next > Next > Next >

 

이름에 Tomcat Tcp8080 입력 > finish

 

 

규칙이 새로 추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에서도 방화벽을 열어줘야 한다.

EC2 대시보드 > 보안그룹 >

 

맨 위에 있는 보안 그룹 id 클릭

 

인바운드 규칙 > 인바운드 규칙 편집

 

유형 : ‘모든 TCP’로 변경 > 규칙 적용

 

가상 컴퓨터의 방화벽과 AWS에 있는 가상 컴퓨터의 방화벽을 열어주었다.

이제 가상 컴퓨터의 컴퓨터 주소에 접근하기 위해 주소를 알아야 한다.

 

EC2 대시보드 > 인스턴스

 

 

네트워킹 > 퍼블릭 IPv4 주소 복사

 

 

 

브라우저 주소창에 ‘퍼블릭 IPv4 주소:8080’ 입력 시 아래처럼 화면이 뜨면 연결 성공이다